본문바로가기

new2025년도 지역주도 R&D 마중물 지원 사업 공고

  • 작성자과제공모담당자
  • 작성일2025-02-17 10:44
  • 조회수86
공고일 2025.02.12 접수마감일 2025.02.28
관련URL http://www.gsipa.or.kr/
첨부파일

강릉과학산업진흥원 공고 제2025-18

 

2025년도 강원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

2025년도 지역주도 R&D 마중물 지원 사업 공고

 

2025년 강원연구개발지원단은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혁신역량 마련을 위한 지역주도 R&D 마중물 지원 사업 실시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 바랍니다.

 

2025212

()강릉과학산업진흥원장

1. 사업 개요

 

? 사업목적

- 강원특별자치도 미래산업 육성기반 마련을 위한 관련 도내 과학기술 수요 대응 R&D 사업 신속 지원

 

2. 사업 내용

 

? 지원 분야

- 강원특별자치도 주축산업(천연물바이오소재, 세라믹원료소재, 디지털헬스케어) 고도화, 5+1 첨단산업 클러스(반도체, 바이오헬스, 미래모빌리티, 청정에너지, 푸드테크 + ICT) 육성 및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R&D 전 분야로써 조기에 기술-사업화 성과 달성이 가능한 R&D 과제를 대상으로 지원

? 지원 규모: 10개 과제(746백만원 규모) 내외 해당 기초지자체 별도 매칭 가능

- 자유 공모 진행 및 평가위원회를 통한 과제당 60~80백만원 차등 지급

? 사업기간: 2025. 4. 1.~11. 30.(8개월)

? 지원내용

- 지역과학기술 혁신역량 강화 및 고부가가치 핵심기술 발굴과 사업화 촉진을 위한 R&D 마중물 신속 지원

구 분

지역주도 R&D 마중물 지원

지원 내용

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및 고부가가치 핵심기술 발굴과 사업화 촉진을 위한 R&D 마중물 지원

지원 기간

8개월 (2025. 4. 1.11. 30.)

지원 대상

강원특별자치도내 혁신기관, 연구소, 대학, 기업 등 단독 혹은 컨소시엄 구성 참여

도 출자·출연기관(강원 TP,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등) 참여 불가

선정 규모

10개 내외: 과제60~80백만원(가 결과에 따른 연구비 차등 지급)

지원 조건

역이 주도할 수 있는 과학기술 R&D 과제를 대상으로 사업계획서 접수 전 제안 기술을 확보하고 있거나 신속한 사업화가 가능한 과제

특히, 제안한 R&D 예상 성과가 지역 사회의 문제 해결과 연관성이 높거나 지역 첨단산업 육성에 기여도가 높은 과제 우대

우대 조건

지자체 및 기관(기업) 자체 현금 추가 매칭 시 우대, 기업의 경우 기업부설연구소 우대, ‘24년 강원혁신 R&D 지원 최우수 기관(기업) 연구책임자

선정평가위원회를 통해 적합한 R&D 과제가 없을 시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

3. 신청 자격

 

? 강원특별자치도 내 소재하고 있는 혁신기관, 대학, 연구소, 기업 등 단독 혹은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 가능*

- (대학) 강원특별자치도 소재 대학

- (기업)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규정에 의한 기업(기업부설연구소 기업 우대)으로 강원특별자치도에 사업장을 두고 있는 기업

- (출연연구소) 직접 R&D 수행이 가능하고 관계 법률에 의해 설립된 정부출연기관 혹은 기초 지자체 출자ㆍ출연기관

*도 출자출연기관(강원 TP,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등)은 참여 불가

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기관 모두 공고일 기준 강원특별자치도 내 위치해야 함

 

4. 신청 기간 및 방법

 

? 사업 공고 접수 및 마감

- 공고 및 접수: 2025. 2. 12.() 09:00 ~ 2. 28.() 18:00까지(기간엄수)

- 접수방법: 강릉과학산업진흥원 홈페이지(http://www.gsipa.or.kr/) 및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사업정보서비스(https://rnd.gsipa.or.kr/)에서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 후 이메일로 제출(방문 및 우편으로 제출된 계획서 및 증빙 서류는 접수하지 않음)

- 문의: 강릉과학산업진흥원 김남돈 팀장(033-650-3320)

- 접수: 강릉과학산업진흥원 김가영 연구원(gy825@gsipa.or.kr/033-650-3316)

지역주도 R&D 마중물 사업 계획서는 전자파일로 스캔하여 이메일로 접수 담당자(김가영 연구원)에게 송부